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뉴욕주민의 진짜 미국식 주식투자-3 알파벳 재무제표 분석하기

독서

by 하드리아누스 2022. 9. 4. 17:41

본문

이번 챕터는 price와 value의 개념, 멀티플의 소개, 그리고 실제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며 어떤 방법으로 의사결정을 해야하는지 실습을 해보는 챕터입니다.

실습을 해보는 파트에서는 소비유통주/IT/호텔&리츠 3가지 산업군의 기업들이 주로 나오는데, IT기업의 예시인 알파벳(구글)을 제외한 기업, 산업은 아직 익숙치 않은 관계로 책에서 진행된 알파벳 분석을 그대로 따라가보겠습니다.

1.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비즈니스 구조는 10-K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파벳에 따르면, 알파벳 모회사 아래 1.구글 2. non-구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1.구글은 또 1.1 구글 서비스, 1.2 구글 클라우드로 구분이 됩니다.

1.1 구글 서비스

  • Google Search & other: 검색 엔진 트래픽에서 얻는 직간접 수익 & 지메일, 구글 지도 등 프로그램에서 얻는 광고수익
  • YouTube ads: 유튜브 광고수익(단일 플랫폼치고 수익 규모가 거대하기도하고 새로운 형태이다보니 따로 관리)
  • Google Network: 구글 애드센스, 애드 매니저 등
  • Google other: 구글 플레이 수수료 수익, 구글 자체 하드웨어(구글폰 픽셀 등) 수익, 유튜브 프리미엄 등의 서비스 수익

1.2 Google cloud: 아마존 AWS처럼 기업고객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사업

2. Non-google = Other bets: 주로 신기술 개발수익

2. 사업 부문별 매출, 영업이익 추정

알파벳처럼 사업다각화가 잘 이루어진 기업이라면, 특히 사업부별 비즈니스 모델이 다르다면 각 사업부별로 추정을 하는 SOTP 방식을 이용해야합니다. 그럼 각 사업부별 매출을 어떻게 추정하느냐에는 정말 다양한 방법이 있겠지만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미 애널리스트들이 발표한 추정치사업부별 peer기업의 멀티플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편합니다.

애초에 재무제표 분석의 기본은 좋은 기업을 찾는 것이 아닌 '안좋은 기업'을 걸러내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며, 미국의 애널리스트들이 한국보다는 비교적 자유롭게 투자의견을 낼 수 있는 환경이기 때문에 위와같은 수치들을 참고하는 것도 괜찮아 보입니다.

각 사업부 별 매출의 경우 주로 어닝콜 스크립트나, 리서치 리포트를 참고해야할 듯 합니다. (결국은 못찾았습니다)
https://www.fool.com/earnings/call-transcripts/2022/07/26/alphabet-a-shares-googl-q2-2022-earnings-call-tran/

Alphabet (A shares) (GOOGL) Q2 2022 Earnings Call Transcript | The Motley Fool

GOOGL earnings call for the period ending June 30, 2022.

www.fool.com


데이터를 못찾은 관계로 책의 예시를 보자면


이런 식으로 각 사업부별로 매출을 추정한 후 멀티플을 곱해주는 형태로 가치를 산정합니다.
이 멀티플은 각 사업부 경쟁자들의 멀티플 평균인데요

10-K, 비즈니스 모델 파트에서 친절하게 사업부별 경쟁기업들을 선정해놨습니다. 여기에 투자자 각자가 판단하기에 경쟁기업이라고 판단하는 기업을 포함시키면 될 듯 합니다.

여기까지 각 사업부별 가치를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여기서 각 가치를 합하고 유통주식스로 나누면 끝나는걸까요?
아닙니다. 아직 기업 가치 산정을 위해 몇 가지 확인해야할 비용, 자산, 부채들이 남아있습니다.

다음 단계는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아 다음에 이어서 작성하겠습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