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영국 주간지 스터디] 1. The pandemic has shown that Amazon us essential-but vulnerable

독서

by 하드리아누스 2022. 11. 6. 21:26

본문

단락1

JUN 20TH 2020 EDITION

 

 

IN THE SUMMER of 1995 Jeff Bezos was a skinny obsessive working in a basement alongside his wife, packing paperbacks into boxes.

 

나: 1995년 여름, 깡마르고 강박적인 JB는 지하실에서 그의 와이프와 일하는 일을 했으며, 그는 판매용 책을 박스에 포장하고 있었다.

 

책: 1995년 여름, 그 때 JB는 아내와 함께 지하실에서 일하고 있었다. 판매용 도서를 박스에 포장하는 그는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있던 말라깽이였다.

 

저자가 말하길 영어의 구는 크게 4가지의 연접양상으로 귀결된다 . 1) 명사-명사, 2) 소유격-명사, 3) 형용사-명사, 4) 명사-전치사-명사 이렇게 나오는 경우에는 구(phase: 완전한 문장x)를 그냥 절(clause)로 바꿔줘서 파악, 해석하면 편하다(?). 이 문장에서는 skinny obsessive가 명+형이니 이를 고려해서 해독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이 개념이 아직 완전히 와닿지는 않지만, 늘어지는 문장을 편하게 끊어도 된다는 것이 뭔가 신기했다.

 


Today, 25 years on, he is perhaps the 21st century's most important tycoon: a muscle-ripped

divorcé who finances space missions and newspapers for fun, and who receives adulation from Warren Buffett and abuse from Donald Trump. Amazon, his firm, is no longer just a bookseller but a digital conglomerate worth $1.3trn that consumers love, politicians love to hate, and investors and rivals have learned never to bet against.

 

25년이 흐른 지금, 그는 아마도 21세기의 가장 중요한 tycoon(재계의 거물)일 것이다. 그는 재미로 우주미션과 신문사에 투자하며, 워런버핏으로부터는 adulation(칭찬, 갈채)을, 도널드 트럼프로부터는 욕을 받는 근육질의 이혼남이다. 그의 회사인 아마존은 더이상 단순한 도서판매회사가 아니다. 소비자들이 사랑하고 정치인들은 증오하며 투자자들과 라이벌들은 절대 bet against(주가하락에 배팅)하면 안된다는 것을 배운 1.3조 달러가치의 디지털 conglomerate(거대복합기업)이다.

 

->책에는 아무 설명이 없긴했지만 확실히 digital conglomerate를 따로 처리하려니 편했다.

 


 

Now the pandemic has fuelled a digital surge that shows how important Amazon is to ordinary life in America and Europe, because of its crucial role in e-commerce, logistics and cloud computing (see article).

 

나: 지금 팬데믹은 디지털 분야의 급성장을 자극했다. 아마존은 이커머스, 물류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기때문에 그것은 아마존이 아메리카와 유럽의 일상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고있다.

 

-> 우선 digital surge = 명 + 명이기 때문에 따로 처리해주는 것이 좋았음, 작가는 주어-동사-보어(2형식) / 주어-동사-목적어(3형식) 에서 주어와 보어 혹은 목적어는 동일한 문법적, 의미적 지위를 갖는다고 한다. 이것을 2-3형식 점이지대라 부른다. (더 자세한 기준이 있지만 나중에 와닿는 예시가 있을때 쓰겠음) 이 글에서 사용된 이 fulled, shows가 위 분석의 예시인데 이 분석에 따라 pandemic = digital surge = how important Amazon인 것이다.

 

작가: 지금은 팬데믹이 한창이고, 디지털 수요가 급증했으며, 우리는 아마존이 미국과 유럽의 일상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목도하고 있다. 아마존은 이커머스, 물류,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있다.

 

-> 위 2-3형식 분석에 따라 팬데믹 = 디지털 수요 급증 = 중요성을 한 문장에서 대등하게 처리한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crisis, Mr Bezos has put aside his side-hustles and returned to day-to-day management,

-> 앞으로 책에서 언급이 없고 나도 편하게 해석할 수 있으면 pass

 


 

Superficially it could not be a better time, but the world's fourth-most-valuable firm faces problems: a fraying social contract, financial bloating and re-energised competition.

 

나: 표면적으로 그의 복귀 시점이 이보다 더 적절할 수는 없으나 세계에서 4번째로 가치있는 회사는 여러 문제들에 직면했다. fraying(너덜너덜하다)한 사회적 계약, 재정적인 bloating(부풀다, 팽창하다), 재활성화된 경쟁 등

 


단락2

The digital surge began with online "pantry-loading" as consumers bulk-ordered toilet rolls and pasta.

Amazon's first-quarter sales rose by 26% year on year.

 

When stimulus cheques arrived in mid-April Americans let rip on a broader range of goods.

 

나: stimulis cheques(수표)가 4월 중순에 미국인들에게 지급됐을 때, 그들은 온갖 물건들을 let rip(엄청난 기세로 뭔가를 하다)했다.

 

형+명 등의 구는 의미 분석을 할 때 정말 중요하다. 작가는 경기 부양 목적의 가계 지불 수표로 해석했다. 재난지원금으로 알면 될 듯

 


Two rivals, eBay and Costco, say online activity accelerated in May. There has been a scramble to meet demand, with Mr Bezos doing daily inventory checks once again. Amazon has hired 175,000 staff, equipped its people with 34m gloves, and leased 12 new cargo aircraft, bringing its fleet to 82. Undergirding the e-commerce surge is an infrastructure of cloud computing and payments systems. Amazon owns a chunk of that, too, through AWS, its cloud arm, which saw first-quarter sales rise by 33%.

 


단락3

One question is whether the digital surge will subside. Shops are reopening, even if customers have to pay at tills shielded by Perspex.

 

Yet the signs are that some of the boom will last, because it has involved not just the same people doing more of the same. A new cohort has taken to shopping online.

 

나: 하지만 현재의 부흥 중 일부는 지속될 것이라는 여러 징후가 있다. 왜냐하면 같은 사람들이 똑같은 행동만을 계속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새로운 cohort는 온라인 쇼핑에서 발생하고있다. / 오우 쉣 완전히 틀렸다

 

-> involve: 수반하다인데 ~이다로 해석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2-3형식 점이지대 동사다. 따라서 it(=boom) = same people doing~이다. 그리고 내 해석이 완전히 꼬여버린건 not just를 놓쳤기 때문이니 앞으로 주의좀

 

작가: 그럼에도 아무튼, 여러 징후들을 보면 디지털 boom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사람들이 계속해서 온라인에서 쇼핑할 뿐만아니라 새로운 고객층이 온라인 쇼핑에 발생했기 때문이다.


In America "silver" customers in their 60s have set up digital-payment accounts. Many physical retailers have suffered fatal damage. Dozens have defaulted or are on the brink, in-cluding] Crew and Neiman Marcus.

In the past year the shares of warehousing firms, which thrive on e-commerce, have outperformed those of shopping-mall landlords by 48 percentage points.

 


단락4

 

All this might appear to fit the script Mr Bezos has written over the years in his letters to shareholders, which are now pored over by investors as meticulously as those of Mr Buffett. He argues that Amazon is in a perpetual virtuous circle in which it spends money to win marker share and expands into adjacent industries. from books it leapt to e-commerce, then opened its cloud and logistics arms to third-party retailers, making them vast new businesses in their own right. Customers are kept loyal by perks such as Prime, a subscription service, and Alexa, a voice-assistant.

 

By this account, the new digital surge confirms Amazon's inexorable rise.

 

나: 이러한 설명에 의하면, 새로운 디지털 수요 폭등은 아마존의 거침없는 성장을 정당화한다.

 

작가: 이러한 설명에 의하면, 새로운 디지털 급등 사태로 인한 아마존의 상승세는 분명 거침이 없는 게 된다.

 

-> 우선 confirms가 2-3점이인지 확인했고, 따라서 new digital surge = Amazon rise는 파악을했다. 그러나 by this account가 구인것을 놓쳤다(명 전 명) by앞부분이 위의 아마존에 관한 내용이고 결국 아마존 설명 = account = digital surge = rise가 되는 것


That is the view on Wall Street, where Amazon's shares reached an all-time high on June 17th.

 


단락5

Yet from his ranch in west Texas, Mr Bezos has to wrestle with those tricky problems. Start with the fraying social contract.

 

나: 하지만 베조스는 그의 텍사스 서부의 목장에서 이런 곤란한 문제들과 씨름해야한다. 너덜너덜해진 계약부터 시작하자

 

작가: 하지만 텍사스 서부의 소유목장에서 베조스는 곤란한 문제들과 씨름하고 있다. 너덜너덜해진 사회적 약속부터 살펴보자.

 

-> 작가는 have to, 명령문들의 경우 k-교육을 받은 사람이라면 ~해야한다로 하겠지만 이렇게 번역을 하면 굉장히 어색해지니 융통성을 발휘할 것을 제안한다


 

Some common criticisms of Amazon are simply misguided. Unlike, say, Google in search, it is not a monopoly. Last year Amazon had a 40% share of American e-commerce and 6% of all retail sales.


There is little evidence that it kills jobs.

-> there be에는 전환과 나열의 뉘앙스가 있다, 따라서 and, too, also가 없어도 비슷한 뜻을 낼 수 있다. 이 문장의 경우 앞에서 독점이라는 지적에 반박했기때문에 새로운 주제를 꺼내고자 쓴 문장이라고 볼 수 있다.

 

아마존이 일자리를 없앤다는 증거'도' 없다. -> 만약 그냥 증거'는'없다 하면 뭔가 허전하긴 하다


Studies of the "Amazon effect" suggest that new warehouse and delivery jobs offset the decline in shop assistants, and the firm's minimum hourly wage of $15 in America is above the median for the retail trade.

 

->오오 작가 의도대로 분석함


단락6

But Amazon's strategy does imply huge creative disruption in the jobs market even as the economy reels.

 

나: 하지만 아마존의 전략은 노동시장에 거대한 창조적 파괴를 가져왔다. 심지어 경제가 휘청거릴때

 

작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존의 전략으로 인해 인력 시장에 창조적이긴 하지만 대규모 두절과 혼란이 일어났다. 그것도 경제가 한껏 휘청거리는 그 순간에 말이다

 

-> 밑줄친 imply 분석과 creative disruption을 주의하긴했는데 이 문장만을 해석할때는 뭔말인지 몰랐다. 아래 문장까지 읽어야 대충 이해가기시작했다.


In addition, viral outbreaks at its warehouses have reignited fears about working conditions: 13 American state attorneys-general have voiced concern. And Amazon's role as a digital jack-of-all-trades creates conflicts of in-terest. Does its platform, for example, treat third-party sellers on equal terms with its own products? Congress and the EU are investigating this. And how comfortable Should other firms be about giving their sensitive data to AWS given that it is part of a larger conglomerate which competes with them?

 


단락7

 

Amazon's second problem is bloating. As Mr Bezos has expanded into industry after industry, his firm has gone from being asset-light to having a balance-sheet heavier than a Soviet tractor factory. Today it has $104bn of plant, including leased assets, not far off the $119bn of its old-economy rival, Walmart. As a result, returns excluding AWS are puny and the pandemic is squeezing margins in e-commerce further. M-Bezos says the firm can become more than the sum of its parts by harvesting data and selling ads and sub-scriptions. So far investors have taken this on trust. But the weak e-commerce margins make it harder for Amazon to spin off AWS.


 

This would get regulators off its back and liberate AWS, but would deprive Amazon of the money-machine that funds everything else.

 

나: spinoff는 규제자들을 아마존에서 떼어내고 AWS를 자유롭게해줄 것이다. 그러나 아마존에게서 다른 모든 영역에 돈을 대주는 돈복사 기계를 빼앗게되는 것이다.

 

작가: spinoff가 이뤄저야 규제기관이 물러날 것이다. 하지만 AWS가 떨어져나가면, 다른 모든 영역과 활동에 자금을 대주는 일종의 현금 자동 지급기를 아마존은 잃게 된다.

 

사실상 this = spin off AWS = liberate AWS인데 굳이 liberate를 원문의 저자가 쓴 것은 나름의 의도거 았다는 것이다. 


단락8

Mr Bezos's last worry is competition. He has long said that he watches customers, not competitors, but he must have noticed how his rivals have been energised by the pandemic. Digital sales at Walmart, Target and Costco probably doubled or more in April, year on year. Independent digital firms are thriving.

If you create a stockmarket clone of Amazon lookalikes, including Shopify, Netflix and UPS, it has outperformed Amazon this year.

In much of the world regional competitors rule, not Amazon; among them are MercadoLibre in Latin America, Jio in India and Shopee in South-East Asia. China is dominated by Alibaba, J.com and brash new contenders like Pinduoduo.

Imitation is the sincerest form of capitalism

The world's most admired business is thus left having to solve several puzzles. If Amazon raises wages to placate politicians in a populist era, it will lose its low-cost edge. If it spins off AWS to please regulators, the rump will be financially fragile. And if it raises prices to satisfy shareholders its new competitors will win market share.

Twenty-five years on, Mr Bezos's vision of a world that shops, watches and reads online is coming true faster than ever. But the job of running Amazon has become no easier, even if it no longer involves packing boxes.

 

© The Economist Newspaper Limited, London (Jun 20th 2020)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