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아티클 리뷰]기업의 적정 부채비율은 어느 정도일까?

일상글

by 하드리아누스 2021. 7. 7. 20:01

본문

본 리뷰는 리디북스 셀렉트에서 제공하는 아티클을 기반으로 작성함

기업의 적정 부채비율은 어느 정도일까? - 아웃스탠딩(양동신 070721)

 

 

 

Modigliani-Miller Theory(MM 이론): 기업의 가치와 부채의 사용유무는 관련이 없다. 자산을 어떤 식으로 취득해도 가치는 동일하다.

조건: 완전자본시장, 거래비용, 세금 x, 주식과 무위험 영구채만 존재  

-> 너무 이론적

 

Trade-off Theory(맞교환 이론) : 자산형태, 수익발생방식에 따라서 최적 부채비율을 찾아야한다. 

 

고려사항: 세금효과 재무적 곤경비용 효과

세금효과 - 부채를 사용하는 기업은 납세전이익의 감소로 법인세를 감소시킬 있음

재무적 곤경비용 효과 - 부채규모가 늘어나면 재무적 곤경에 도달할 확률 높아지고 파산 리스크가 커짐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높은 부채비율 적용가능 

-> (유형자산 < 무형자산): 낮은 부채비율 선호

-> 과세대상 수입이 많다: 높은 부채비율로 법인세 감소

-> 과세대상 수입 적다: 낮은 부채비율로 비용 감소

 

Pecking-order Theory(자본조달순서이론):  재원조달 방식의 선호도는 내부유보금 -> 부채 -> 주식발행이다. 이는 회사가치의 고평가, 저평가 여부에 따라 주식발행을 할지, 다른 방식을 이용할지가 달라지며, 회사 유보금이 얼마나 여유있는지에 따라 내부유보금을 이용할 부채를 이용할 지가 달라짐

Cf : 보통 회사 내부적으로 회사가 고평가 되어있다고 생각하면 유상증자를 한다고한다. 그래서 유상증자시 가격이 하락한다고함..

 

 

 

실제 데이터

 

미국의 업종별 부채비율

Top 

보험사, 증권사

투자은행

상업은행

고무&타이어

항공기

-> 금융업의 경우 고객들의 돈이 모두 부채로 기록되어서 그런 것임

고무&타이어, 항공기등은 고정자산의 비중이 높아서 부채비율이 높음

 

Lowest

소프트웨어

신발(?)

온라인유통

반도체

 

-> 수익성이 높아 내부유보율이 높아서 낮은 부채비율 유지 가능

 

 

 

한국의 업종별 부채비율

Top

금융/보험

공공교육

사업시설관리서비스

생산자서비스

기타서비스

-> 역시 금융/보험이 높음, 그런데 의문인게 교육이나 서비스부문들의 부채비율이 높은건지 모르겠다. 항목을 살펴봐야겠다.

 

 

Lowest

통신기기

담배

반도체

방송

고위기술산업군

-> 반도체만 미국과 동일하게 최하위 그룹에 포함됨 소프트웨어, 게임 업종이 없는게 의외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