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기업 가치평가 : DCF평가법 실습3 - FCF완결
하드리아누스
2021. 2. 28. 22:21
저번 글에서는 nwc까지 구했습니다.
CAPEX 구하기
원래는 투자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의 순증감을 다 더해서 capex를 구해야하는데 유형, 무형자산의 경우는 영업과 관련된 항목의 증감만 봐주어야 합니다.
이전에 봤던 케이스 중에는 회사가 영업과 관련없는 자산을 많이 늘린 상태인데 그것을 고려 못하고 capex에 반영했더니 fcf가 굉장히 안좋게 나왔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유형자산의 증감은 잘 가려낼 필요가 있습니다.
원래는 귀찮게 찾아봐야 할것인데 친절한 네이버에서는 capex를 제공해주네요.
capex의 추정은 매출액 대비 capex로 추정을합니다. 물론 성장이 잘된다면 그 비율을 늘리며 금액도 늘릴 수 있지만 보수적 가정으로 지금의 비율을 유지하겠습니다.
최종적으로 나온 FCF입니다.
참고로 네이버 재무제표상 2019/12 기준 fcf는 44억이고 저의 계산 테이블도 44억으로 나왔습니다.
정말 다 단순추정을하니 그렇게 좋은 수치는 아닌 것 같습니다. 물론 2019년에는 무슨 일이 있었는지 순운전자본이 많이 감소했었습니다.
...
...
혹시 뭔가 이상했나요? 네 맞습니다 네이버에서도 FCF를 제공해줍니다 엌ㅋㅋ
뭐 그렇다고 해서 지금까지의 과정이 쓸모없는건아닙니다. FCF를 단순 추정하기에는 복합적인 요소가 필요하기에
위 자료로 FCF 추정은 못할것입니다. 그래도 자신의 계산이 맞는지 정도는 확인하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